프랑스어 6

한국어 프랑스어 이중언어 아이 이야기.

9세 딸아이의 현재 상태는 점점 프랑스어의 편함과 익숙함이 한국어의 그것들을 압도하려 하는 중이다. 주말 오전에는 늦잠과 함께 티비시청을 허락하는데, 그럴때마다 신이나서 넷플릭스를 켠다. 예전에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을 한국어 음성설정으로도 곧잘 보더니 요즘은 무조건 프랑스어를 선호한다. 물어보니 한국어로 봐도 괜찮은 애니가 있고 프랑스어로만 봐야하는 게 있다고는 하는데 아무래도 프랑스어가 편한 눈치다. 하루는 애니메이션을 한국어로 하고 보길래 물어봤다. "오늘은 한국어로 하고 보네?" 했더니, 딸아이 왈 "어? 한국어였네! 몰랐어." 이러며 설정을 프랑스어로 바꾼다. 자신이 어떤 언어로 티비를 보는지 인지하지 못할정도로 두개 언어가 다 익숙하다는 의미였다는 일화라 생각한다. 참 신기하다.

프랑스어 2024.02.08

프랑스어 'H' 유음?무음?

불어를 공부할 때 만나는 특이점 중에 하나가 바로 H이다. 상식적으로 불어의 H는 소리를 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고 실제로도 H소리를 내는 단어는 없다. (때문인지 상대적으로 프랑스인에게 H발음이나 한국어의 ㅎ발음이 어렵다고 한다. 가끔 이거 가지고 아내를 놀리기도 함) 한국 분들이 익히 알고 있는 Homme hôtel 같은 단어들이 대표적인데.. 옴(므) 오뗄 로 발음한다. 덧붙여 여기에다가 관사를 붙여도 l'homme 롬(므) l'hôtel 로뗄 로 된다. 여기까지는 아무문제가 없이 그려러니 하며 공부를 하지만 갑자기 H가 무음과 유음으로 나눠진다는 걸 배우게 되는데!!! 위에 설명한 두단어는 무음H이고 ( H muet) 유음 H가 존재한단다 H aspiré 이건 또 뭔소리인가 하고 살펴보니 H발음..

프랑스어 2021.10.09

한국인들이 다르게(혹은 틀리게?)표기하는 프랑스어 단어들.

한국인들이 발음할 때 프랑스인과 다르게 하는 단어들이 몇개 생각나서 적어본다. 1. 일단 Citroën 이다. 나도 내 친구들도 모두 어렸을 때부터 불어니까 당연히 마지막 N 이 있어서 씨트로'엥' 이라고 해야할 것만 같았다. 얼마전에 아내와 차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중 나보고 왜 씨트로엔 인데 씨트로엥 이라고 발음하냐고 묻는다. 당연히 그런거 아냐? 라고 했는데.. N 앞의 e위에 있는 두 점 때문에 씨트로엔 이라고 해야한단다. 이걸 뭐라 하더라 TREMA인가...암튼.. 2.유명 영화배우 JEAN RENO. e위에 ACCENT악성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장 르노 라고 발음하고 그렇게 표기해 왔었다. 역시 아내가 어느날 정 레노 (R발음 때문에 정 ㄹ헤노 라고 적어야겠다.) 가 아니라 레노 라고 하는 것..

프랑스어 2021.08.31

이상한 프랑스어 숫자 세기.

프랑스어를 기본만 공부해도 아는 것이지만, 어느정도 살아도 거기에서 익숙하지 못한 숫자셈법이 있다. 참 특이하다. 그 중 우리에게 가장 곤욕스러운 부분을 꼽자면, 70, 80, 90 을 셀 때다. 살펴보자면, 60 = soixante 70 = soixante + dix (10) 가 된다. 우리나라 말로하면 70을 '육십십' 이라고 하는 셈이다. 좀 더 이해가 쉽게 영어로 비교하자면, 70 을 부를때 sixty-ten 이라고 하는거다 71 은 sixty- eleven 72 는 sixty-twelve 77 은 sixty-seventeen 요런 식이다 80은 더 난이도가 높다 4 X 20 이라 부른다. quatre-vignt 인데 90이 넘어가면서부터 초보인 사람들은 알아듣기가 어려워진다. 또 다시 영어로 비..

프랑스어 2021.02.23

나의 프랑스어 이야기.

어릴 때부터 외국어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막연히 외교관이나 외국 관련 직종에서 일하는 걸 목표로 삼은적도 있다. 하지만 꿈이 바뀌었다고 해야할까 전혀 관련 없는 전공을 선택하게 되어서 서른이 다 될 때까지 영어나 다른 외국어에 대한 관심은 끊고 살았었고, 그러다가 서른이 다 되어서 영어 공부를 하면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질 거라는 생각에 영어 회화학원을 1년 정도 열심히 다닌 기간이 있다. 확실한 건 그때 열심히 한 결과로 비영어권의 외국인과 영어로 '일상 대화' (전문적인 단어나 아카데믹한 건 잘 안됨)를 하는 건 크게 무리가 없는 단계라 본다. 고등학교 동창중 하나가 영어회화 강사를 하는 친구가 있어 내 수준을 한번 테스트해보았었는데, 그 친구 왈~ '영어권 나라에서 관광이나 여행하는 수준을 넘어 생..

프랑스어 2021.02.21
1